Window #1. Window 2012 Server 자동업데이트 방지
개요
윈도우 2012 R2 서버 설치 후 자동재부팅이 되는것을 방지하기 위함
Window 2012 Server 자동 업데이트
일반적인 기업환경, 특히 온프레미스를 운영하는 회사에서는 윈도우 서버 운영환경에서는 서비스의 안정성과 변경 시 운영의 장애포인트를 최소화 하기위해서 윈도우 자동 업데이트를 하지 않고 필요시에만 업데이트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러한 업데이트를 진행할 시 외부망과 연결되어 window update catalog에서 패키지를 내려받는 서버의 경우, 패키지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설치와 재부팅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 운영 중인 서버가 갑자기 재부팅되면 상당히 난감한 상황이 발생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하여 간단하지만 운영자로서 알고 있으면 좋을 윈도우 서버 중 Window 2012 R2 Server의 자동 업데이트를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한다.
1. 그룹 보안정책 설정
먼저 시작 + r 을 입력하여 실행창을 띄운 후 gpedit.msc를 입력하여 로컬 그룹 정책 편집기를 오픈한다.
다음, 로컬 컴퓨터 정책 > 컴퓨터 구성 > 관리 템플릿 > Windows 구성 요소 > Windows 업데이트를 선택하고'예약된 자동 업데이트 설치 시 로그온한 사용자가 있을경우 자동 다시 시작 사용 안함' 선택한다.
2. 그룹 정책 적용
위 설정은 서버 재부팅 혹은 cmd창에 gpupdate 명령어를 실행시켜서 적용한다.
cmd에 입력하는 방법은 실행창에 cmd를 입력 후 'gpupdate' 명령어를 실행하여 정책을 업데이트해주면 된다.
'System Engineering >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7. 리눅스 네트워크 bonding(본딩) 처리 방법 (0) | 2021.11.25 |
---|---|
Linux #6. 리눅스 파일시스템 용량 증설(LVM, 파티션) (0) | 2021.10.31 |
OS #1. 메모리구조(heap, stack) 이해 (0) | 2021.06.05 |
Linux #5. 리눅스 su와 su - 의 차이 (0) | 2021.06.02 |
Linux #4. 리눅스 접근권한 관리 / chmod, chown (0) | 2020.09.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