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7. Docker Volume 활용하여 Tomcat 로그 저장하기
개요
Docker volume 을 활용하여 Was log를 호스트에 저장하기
Docker Volume
톰캣을 도커 컨테이너로 운영하게 되면 방대한 로그의 양 때문에 컨테이너의 용량이 매우 커지게 된다. Docker의 데이터 경로를 별도로 설정해 주었다고 해도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로그파일도 함께 날아가기에, 비휘발성 데이터들은 로컬에 저장하는게 안정적일 것이다. 그런 의미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Docker의 Volume기능을 활용하여 호스트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연동해보려 한다.
1. Tomcat의 로그를 저장할 폴더 생성
현재 WAS를 두 개 운영 중인 관계로 “tomcat_test”라는 폴더를 별도로 만들었다. 해당 폴더 내에 log라는 폴더도 생성했다ㄴ. 현재 돌리고 있는 ‘tomcat_test’라는 톰캣 컨테이너는 아래처럼 로그가 쌓이고 있다.
이는 해당 컨테이너가 삭제될 경우 로그도 함께 삭제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호스트에 경로를 지정해 줄 것이다.
2. Volume 경로 설정
Docker에서 Volume을 설정해 줄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 Dockerfile 에서 호스트 경로를 명시해줄 수도 있고, 이미 실행 중인 컨테이너 에서 지정해줄 수도 있으며 최초 Docker이미지를 실행시켜 컨테이너를 생성 시에 정의해 줄 수 도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 방법인 Docker 이미지 최초 실행 시에 호스트 경로를 지정할 것이다. 기존에 실행 중이던 톰캣 컨테이너를 먼저 삭제하고 진행했다.
다음, 아래 명령어를 쉘에 입력한다.
docker run -d --name tomcat_test -p 8080:8080 -v /u01/tomcat_test/log:/usr/local/tomcat/logs tomcat
명령어에 대한 설명을 덧붙이자면
docker run -d –name [만들 컨테이너 명] -p [외부포트]:[도커 내부포트] -v [지정할 호스트 경로]:[컨테이너 내 지정 경로] [이미지 id 혹은 이름]
이렇게 이해하면 되겠다.
3. log 파일 적재 확인
브라우저를 통해 해당 서버의 8080 포트로 접속했을 때 서버 호스트에 지정된 위치에 로그파일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컨테이너 삭제 시 로그 파일 유지되는 것을 확인
tomcat\_test 컨테이너를 삭제해도 로그가 지정된 폴더에 그대로 남아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컨테이너 내에서 변경했던 설정 기준으로 다시 이미지화시키는 Commit에 대해 알아볼 예정 😌
해당글은 다음 링크로부터 이전되었습니다.
https://zunoxi.github.io/devops/2020/05/30/devops-docker-dockervolume/
'System Engineering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9. 알아두면 편리한 docker command (0) | 2020.07.10 |
---|---|
Docker #8. Docker Commit 활용 컨테이너를 이미지화 시키기 (0) | 2020.05.30 |
Docker #6. Docker로 Tomcat 운영하기 (2) | 2020.05.15 |
Docker #5. CentOS7 Docker 데이터 경로 변경하기 (0) | 2020.04.29 |
Docker #4. 도커(Docker) Hub Push / Pull / Run (4) | 2020.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