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 Engineering/Cloud

Cloud #3. CNA(Cloud Native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

ZunoXI 2021. 5. 17.

개요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적화된 MSA를 구현하기 위한 CNA에 대한 이해

 

 

Cloud Native Architecture


최근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의 인프라에서 클라우드환경으로 시스템 운영환경이 변해가며 클라우드 친화적 개발환경인 클라우드 네이티브 아키텍쳐(이하 CNA)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특히나 클라우드가 각광받음과 더불어 MSA, 컨테이너 등 이 핫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NA와 함께 수반되는 핵심개념들에대해 정리해보려한다. (너무 거창한 오프닝같다🤨)

 

 

✓ CNA는 시스템운영을 위해 DevOps과정이 수반된다. 다만, 본 포스팅에 DevOps관련된 내용은 생략했으며 이는 기존에 포스팅했던 CI/CD 관련 포스팅들을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CNA 설계, 개발 단계


DDD(Domain-Driven Design)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것, 사용중인것을 모두 도메인(Domian)이라고 할 수있다. OOP 프로그래밍에서 Object(객체)는 추상화 또는 구체화할 수 있는 특정요소만을 표현하는 반면, 도메인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모든것을 설명할 수 있다.

도메인주도 디자인이라는것은 즉, 개발시 도메인이 중심이 되는 개발방식이며 높은 응집도, 낮은 결합도를 추구 (Loose Coupling, High Cohesion)하는 특징이있다.

 

 


Event Driven Architecture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및 모델

 

도메인 모델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을때 이를 대표하는 이벤트를 도메인 이벤트라고 한다. 도메인 이벤트를 전파시키면서 자신의 해야할 일을 하고, 그 이벤트를 받은 서비스가 자체적으로 다른 이벤트를 만들어가는것을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 이라고 말한다. (특정행동이 순서에 따라 발생하는것이 아닌 어떤일에 대한 반응으로 동작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 Event Driven 방식은 MSA가 적용된 시스템에서 이벤트 발생 시 해당 이벤트 로그를 보관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비동기 통신(Async)을 통해 시스템 내 통합을 수행하는 아키텍처이다.

 

MSA를 구현함에 있어 등등 핵심적인 키워드는 기존시스템을 쪼개는것 에 중점이 되는데, 이때 가장 어려운것이 Database를 서비스 단위로 쪼개서 사용하는것이다. 이는 엔터프라이즈에서 데이터가 중요자산이고, shared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장점 사용불가인점 등의 이유로 Database per Service 구현이 어렵기때문이다.

 

 

이를 해결하는것에 도움을 주는것이 이벤트 드리븐(Event Driven)방식이다. 이벤트 드리븐방식은 각 서비스에서 이벤트의 내용을 pub/sub형식으로 전달하고 kafka(클라우드 환경에서의 Message Channel 역할)를 통해 각 서비스에 메시지가 전달되고 처리되게 도와준다. (관련 내용은 정리의 하단부에 추가로 설명예정)

참고 블로그 포스팅

  1. https://velog.io/@sa833591/이벤트-시스템1
  2. https://medium.com/dtevangelist/event-driven-microservice-란-54b4eaf7cc4a
  3. https://jaehun2841.github.io/2019/06/23/2019-06-23-event-driven-architecture/#event-stream-processing
 

Event-Driven-Architecture란? | Carrey`s 기술블로그

Event Driven 란? Event Driven은 IT 영역에서 오래 사용된 키워드이며, 현재도 그 영향력이 대단하여 2018년 Gartner에서 선정한 유망한 기술 트렌드 중 하나로 뽑히기도 했다. (Top 10 Strategic Technology Trends fo

jaehun2841.github.io

 

 

 

 

 


MSA의 구조

 

기존 모놀리틱했던 시스템과 MSA시스템의 구조적 차이는 위 그림과 같다.

 

 

 


API Gateway

 

MSA의 진입점을 통일시키는 역할을 한다.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내에서 서비스를 각각의 컨테이너로 구동시키고 Gateway 서비스에만 외부에서도 통신이 가능하게끔 LoadBalancer 혹은 NodePort 기능을 부여한다.

 

 

위 설정을 통해 일반 서비스 사용자는 오픈되어있는 Gateway로 접근 후 URI Path-based 로 Routing되어있는 MSA각각의 서비스( ex) 상품, 주문 배송)에 접근 할 수 있다.

 

 

API Gateway의 주요기능

 

  1. 인증 및 인가 : 인증서 관리, 인증, SSL,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일괄 적용
  2. 요청 절차의 단순화 : 여러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단일 클라이언트의 요청으로 대체가능, 클라이언트와 백엔드 간의 API 통신량을 줄여줌(대기시간 down, 효율성 up)
  3. 라우팅 및 로드밸런싱 :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수된 메시지를 API호출시 적절한 서비스로 라우팅가능, 서비스 인스턴스들에 대한 부하분산 가능
  4. 서비스 오케스트레이션 : 여러 개의 마이크로 서비스를 묶어 하나처럼 보이게하는 효과
  5. 서비스 디스커버리 : 클라우드환경(동적인환경)에서의 서비스 위치(IP주소와 포트번호)를 지원



통합인증에대한 방안

 

  1. Oauth 서비스 운영 : 웹,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타사의 API 권한 획득을 위한 프로토콜
  2. JWT(Json Web Token)토큰 운영 : Header, Claim Set, Signature로 구성하여 사용, 요청헤더에 Authorization 값을 담아서 서버로 송신



참고 포스팅

  1. https://velog.io/@tedigom/MSA-제대로-이해하기-3API-Gateway-nvk2kf0zbj, /
  2. https://medium.com/@umanking/카프카에-대해서-이야기-하기전에-먼저-data에-대해서-이야기해보자-d2e3ca2f3c2
 

Kafka 이해하기

카프카의 구성요소, 동작원리, Exactly-delivery-once 모델 차용

medium.com

 

 


Kafka

 

 

Message Queue

일반적인 웹서비스는 서버-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은 결합도가 높은구조이며 동기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는 의존성이 높아 시스템에 많은영향을 주며 유연성이 낮은 특징이 있다. 서비스간 결합도가 낮아야하는 MSA에서는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으로 비동기 방식을 사용하는것이 효율적이다.

 

  • Message Queue(MQ) 는 메시지를 발행하는 생산자(producer, publish)와 메시지를 받는 소비자(consumer, subscriber)사이에 위치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미들웨어이다.

 

Kafka 는 아파치재단의 pub/sub 구조에 특화된 메시지 큐이며, 많이 사용되는 이벤트 처리 방식인 분산형 데이터 스트리밍 플랫폼으로써 이벤트 스트림 게시, 구독, 저장 및 처리를 실시간으로 처리가 가능하다.

 

  • pub/sub : 클라우드 기반의 대용량 메시지 큐, 이벤트 스트림 구독 기반의 메시징 인프라이며, 이모델을 사용하면 이벤트 발생 후 또는 게시 후에 알림을 받아야 하는 구독자에게 이벤트가 전송되는 방식이다.

 

또한, kafka는 대용량의 실시간 로그 처리에 특화된 메시징 시스템으로써 기존 범용 메시징 서비스대비 TPS(Transaction Per Seconds)이 우수하다.(RabbitMQ나 ActiveMQ에 비해 높은 처리량, 및 성능을 갖고 있음)

 

 

✓ 프로듀서와 컨슈머를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고, 무중단으로 Scale Out(필요시 Kafka 어플리케이션 확장)이 가능하다.

 

 

✓ MSA구조의 이벤트 파이프라인의 역할을 하는 중추적인 기능으로 Kafka가 다운되면 치명적인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참고 자료

  1. youtube : 데브원영님 강의 Apache kafka 기본개념 및 생태계
  2. https://velog.io/@tedigom/MSA-제대로-이해하기-5Backing-Service-lqk3b7560w
 

MSA 제대로 이해하기-(5)Backing Service

이번 시간에는 MSA의 Outer Architecture 중 Backing Servic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acking service 우선 Backing Service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가운데 네트워크를 통해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서

velog.io

 

 

 


CQRS

 

CQRS(Command 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 : 명령과 조회의 책임 분리를 의미하며 이는 시스템에서 명령을 처리하는 책임과 조회를 처리하는 책임을 분리하는 것이다.

  • 명령 : 시스템의 상태를 변경하는 작업 / 조회 : 시스템의 상태를 반환하는 작업, 읽기전용 DB와 쓰기 DB를 분리함으로써 빠른 읽기 구현할 수 있다.

 

 

 


 

 

 

 

CNA 배포, 운영 단계


Docker

 

Dokcer Engine

 

Docker는 컨테이너를 활용한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컨테이너기술은 응용프로그램의 구동환경을 별도로 격리한 공간이며 하이퍼바이저를 사용한 가상화보다 단일 물리서버에 더 많은 애플리케이션 배치가 가능하고 더 가벼우며 이식성이 뛰어나다.

 

✓ Docker Engine(이하 Docker)가 이런 컨테이너를 구동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어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해야하는 서버에 개발환경과 동일한 환경(java버전, 운영체제 등)을 별도로 설치하거나 고려하지 않아도 이미지빌드가 정상이라면 개발환경과 동일하게 구동이 가능하다.

 

 

최초 Docker는 리눅스계열에서만 사용가능했으나 최근에는 윈도우진영에서도 docker toolbox, docker for window를 통해 VM형식으로 docker를 지원중이다. 또한 윈도우 컨테이너역시 지원한다.

 

[Windows 컨테이너] 1: Windows 컨테이너에 대한 이해

Windows 컨테이너를 실무에 사용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내용들을 설명합니다.

tech.devsisters.com

 

 

 


 

 

 

 

Docker Image

 

Docker의 이미지는 읽기 전용으로 컨테이너를 구동시킬 수 있는 베이스 파일의 역할을 한다. Docker 컨테이너의 default OS는 devian을 바탕으로 생성되나, 실제 커널은 호스트서버의 커널을 공유 한다.

 

 

이는 컨테이너 내부로 접근하여 커널의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입력했을 시 쉽게 확인이 가능. 따라서 시스템상의 구현체는 devian os가 탑재되어있지만, 호스트의 커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로 OS를 띄운 VM보다 훨씬더 가볍고 빠르다.

 

 

이미지는 앞서 언급한것처럼 읽기전용이기때문에 컨테이너가 구동중인상태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변화(로그데이터, 운영데이터 등) 변경은 컨테이너내에 쌓인다. 즉,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며 생긴 데이터들이 유실되므로 도커가 제공하는 Volume기능을 이용하여 호스트 공간에 마운트할 필요가 있다.

 

 

✓ Docker image는 Dockerfile이라는 파일을 인식하고 해당 파일의 내용을 인식하여 단계별로 빌드한다.

 

 

Docker Repository

 

Docker image를 빌드 이후 서버에서 기동시키위해서는 docker repository에 docker image를 업로드해야한다. (운영서버에서 이미지를 다운받아서 사용하기 위함)

 

 

✓ default로 사용되는 docker repository는 dokcer hub(https://hub.docker.com/)이지만 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사용할 목적의 private한 서비스를 위해 docker hub private이나 Amazone ECR과 같은 플랫폼이 존재한다

 


Kubernetes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도커는 그자체로도 매우 강력한 장점이 있지만, 운영시스템에서 단독으로 사용하기에는 제약사항이 많다. 특히, 도커 Volume 같은 기능자체도 최근에 생긴 기능이기때문에 도커 컨테이너들의 생명주기를 관리해주고 전체적인 통신도 관장해줘야하는 오케스트레이터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탄생한것이 쿠버네티스이며 k8s 라고 줄여서 지칭한다.

 

 

 

master node

 

쿠버네티스는 master node 한 대와 worker node 여러개로 구성되어있다. 이런 노드들이 묶여 하나처럼 보이게 하는 것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라고 한다. 클러스터안의 Namespace라는것이 쿠버네티스의 오브젝트들을 독립된 공간으로 만들수 있게 도와준다.

 

 

쿠버네티스의 오브젝트

 

쿠버네티스는 pod, service, controller등 다양한 오브젝트들을 가진다. 중요한 오브젝트들을 정리하자면 pod에 docker repository에 업로드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구동시키고 service로 해당 pod를 외부에 오픈하며, controller로 해당 파드들에 대한 생명주기를 관리한다.

 

 

쿠버네티스의 볼륨

 

앞서 언급했던것 처럼 컨테이너내부의 데이터는 휘발성 데이터이기때문에 호스트서버 어딘가에 마운트해서 사용해야할 필요가 있다.

 

 

쿠버네티스는 emptyDir, Hostpath등의 기능을 지원하지만 가장 많이 사용하는것은 PVC/PV 방식이다.

PVC/PV는 일반 사용자가 구동시킬 컨테이너 서비스가 필요한 용량에대해 Persistent Volume Claim(PVC)를 요청하면 관리자가 정적 혹은 동적으로 PV를 할당해주는 방식이다.

 

 

 

 

 


 

해당 포스팅은 다음 블로그에서 이전되었습니다 :)

 

https://zunoxi.github.io/cloud/2020/11/11/cloud-cloud-cna/

 

Cloud 2. CNA(Cloud Native Architecture)에 대한 이해

개요 클라우드 환경에서 최적화된 MSA를 구현하기 위한 CNA에 대한 이해 목차 MSA 구조 Kafka의 역할 Docker의 사용 Kubernetes 도입 Cloud Native Architecture 최근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의 인프라에서 클라우

zunoxi.github.i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