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ker #10. 스프링부트(spring-boot) Docker로 구동하기
개요
스프링부트(spring-boot)프로젝트를 Docker로 구동해보기
Spring-boot to Docker
앞선 포스팅에서 우리는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jar로 만들었다. https://zunoxi.github.io/programming/2020/08/11/dev-web-spring_jar/ 포스트에 이어서 해당 jar파일을 이용해 도커 이미지를 만들어보자.
본문에 앞서, CI/CD pipeline이 잘구축된 시스템에서는 jenkins상에서 maven 혹은 gradle로 빌드를한 이후에 Docker image를 만들고 이를 활용하는게 일반적인걸로 알고있다. 다만, 본 포스팅에서는 단순히 스프링프로젝트를 도커이미지로 변환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하기에 다른 빌드방법에 대한 내용은 생략하려한다.
1. dockerfile 만들기
먼저, docker는 윈도우 환경이나 docker가 설치된 리눅스 환경에서만 build가 가능하므로 개발환경부터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참고) 원래 윈도우에서는 docker사용이 안됐고 리눅스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다. 그러나 현재는 MS의 지원으로 윈도우 10 pro 이상은 하이퍼바이저 + docker desktop을 사용하고 그 이하는 docker toolbox를 사용함으로 윈도우에서도 docker를 사용 가능하다. (vm을 쓰는 것과 같은방식이다.)
https://spring.io/guides/gs/spring-boot-docker/ 스프링 부트를 도커 이미지로 만드는 방법은 위의 사이트에 잘 정리가 되어 있어 이번 포스트를 작성시 많은부분 참고했다. 해당 사이트를 기반으로 Dockerfile을 만들어보려한다.
“Dockerfile”
# openjdk8을 기반 이미지로 설정
FROM openjdk:8-jdk-alpine
# 호스트의 volume 설정
VOLUME /tmp
# build시 사용되는 변수 설정
ARG JAR_FILE=*.jar
# 컨테이너에 파일 복사
COPY ${JAR_FILE} app.jar
# 실행 명령 정의
ENTRYPOINT ["java","-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jar","/app.jar"]
가장 윗 줄부터 정리해서 차례대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1) FROM openjdk:8-jdk-alpine : openjdk8을 해당 컨테이너의 베이스 이미지로 설정한다.
(2) VOLUME /tmp : 컨테이너의 /tmp 디렉토리를 호스트의 특정 폴더와 공유한다. volume 기능은 실제 운영을 위해서는 꽤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래 포스트를 보고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https://zunoxi.tistory.com/50?category=871486 (본 포스팅에서는 테스트만 진행할 예정으로 별도 볼륨 기능에 대해서는 서술하지 않는다.)
(3) ARG JAR_FILE=*. jar : ARG는 컨테이너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변수를 지정할 수 있다.
필자는 스프링 프로젝트의 target만 서버에 올렸고, 해당 폴더에 Dockerfile을 생성했으므로 Dockerfile기준으로 폴더 내의 *. jar를 선언하는 것은 스프링 부트의 빌드된 jar 파일을 의미한다.
(4) COPY ${JAR_FILE} app.jar : 위에 선언했던 JAR_FILE 변수를 컨테이너의 app.jar로 복사한다.
(5) ENTRYPOINT [“java”, “-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jar”,”/app.jar”] : 실행할 명령을 정의. 컨테이너가 구동될 때 java -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 -jar /app.jar 명령이 실행된다.
가운데 명령어(-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는 JDBC Driver에서의 암호화 작업을 의미하는데 아래 포스트에 해당 내용을 참고하면 좋을것 같다.
https://velog.io/@skygl/Docker-%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EC%82%AC%EC%9D%B4%ED%8A%B8-%EA%B0%80%EC%9D%B4%EB%93%9C%EC%9D%98-Docker-%EC%97%B0%EB%8F%99%ED%95%98%EB%8A%94-%EB%AA%85%EB%A0%B9%EC%96%B4-%EC%9D%B4%ED%95%B4%ED%95%98%EA%B8%B0
2. Docker image build
(1) docker image build
공식문서나 여러 블로그 포스팅에서 Maven기반 혹은 Gradle기반에 따라 명령어를 나눠서 기술하고 있다. 필자는 Maven기반의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이며 프로젝트 폴더 안에서의 빌드가 아닌 앞서 말했던 것처럼, target 폴더만 서버에 올린 상태이므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빌드했다.
$ docker build -f Dockerfile -t zunoxi .
간략하게 옵션 명령어에 대해 설명하자면
- -f : build에 참고할 파일명 (일반적으로 Dockerfile이라는 이름으로 도커 파일을 만들었다면 생략해도 무방하다)
- -t : 이미지에 대한 태그
- ” . “ : 마지막에 . (온점)을 꼭 붙여줘야 한다. 해당 빌드 위치기반으로 이미지를 빌드하겠다는 뜻이 된다.
공식문서에서는 다음 명령어를 사용하라고 되어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다. (프로젝트의 루트에서 실행)
$ docker build -t springio/gs-spring-boot-docker .
(2) docker image run > docker container 구동
$ docker run -p 9090:9090 --name spring [image id]
- -p : 외부 포트:내부 포트 매핑 (외부에서 8080번으로 요청된 트래픽은 해당 컨테이너의 8080에 매핑시키겠다는 뜻)
- --name : 생성할 도커 컨테이너의 식별자 이름을 지정
(이미지가 정상적으로 구동되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3) 컨테이너 정상 구동 여부 확인
이렇게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docker image로 만들었다. 말이 스프링부트이지 그냥 jar 파일을 docker 컨테이너안에서 실행시킬 수 있게끔 구현한 것이다. 다만 스프링 레거시가 아닌 부트(boot)이기 때문에 WAS가 별도로 필요 없는 정도? 해당 포스팅이 관련 문제로 고민하는 독자에게 참고가 되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깃랩과 젠킨스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상에 해당 프로젝트를 자동으로 배포해볼 예정이다.
해당글은 다음 링크의 블로그로부터 옮겼습니다 :)
https://zunoxi.github.io/devops/2020/08/11/devops-docker-docker_spring/
'System Engineering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12.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해결방법 #Jenkins (0) | 2021.06.17 |
---|---|
Docker #11. Docker Window 설치 오류(error during connect...) (0) | 2021.05.30 |
Docker #9. 알아두면 편리한 docker command (0) | 2020.07.10 |
Docker #8. Docker Commit 활용 컨테이너를 이미지화 시키기 (0) | 2020.05.30 |
Docker #7. Docker Volume 활용하여 Tomcat 로그 저장하기 (0) | 2020.05.30 |
댓글